${변수명} String interpolation 문자열 보간
보간(interpolation) 뜻 : 보간은 두 점을 연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컴텨에서 선을 그린다고 가정해보자
선은 점들의 집합이므로 선을 표현하기 위해 무수히 많은 점의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다 저장하는 것은 메모리 낭비이다.
따라서 선에 필요한 꼭 필요한 점들만 저장해야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sampling이라 부르며, 선의 모양 변화가 심해지지 않기 위해, 도와주는 과정을 보간이라고 함
let firstName = "John";
let text = 'welcome ${firstName}';
//output : welcome John
firstName이라는 변수에 John을 할당한 뒤,
${변수이름}을 써주었더니 변수에 할당되었던 값이
문자열에 들어가 대체되어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보간법 사용시 , 싱글따옴표 ' 를 사용함
이처럼 ${변수명}의 형식을 사용하면 문장에서 변수에 할당된 값이 프린트된다.
이러한 형식을 String interpolation 문자열 보간이라고 하며
자바스크립트에서 자주 활용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변수에 해당되는 값을 유동적으로 String에 넣을 수 있다.
예를 들어 let키워드를 사용하면 변수의 값이 계속 바뀔 수 있다.
어떠한 값으로 바뀔지 모르기 때문에 String interpolation을 사용하여 변수에 저장된 값으로 보간을 해주겠다는 뜻이 담겨있다.
let favoriteCity = 'Seoul';
console.log('My favorite city is ${favoriteCity}') // print Seoul
favoriteCity = 'New York';
console.log('My favorite city is ${favoriteCity}') // print New York
근데 이거 그냥 favoriteCity 해도 new york이 나오는데 왜 굳이 ${variable} 써서 넣는거임...?
저건 그냥 단순 string만드는 예시임
보통 무언가 표현이나 동작하는걸 넣을 때 보간법을 사용함
Simple quotes are for pure string const str ='ji' ==> ji
Backquotes you can create string and evaluate expressions inside using ${EXPRESSION}
const str2 = `sum : 1+1=${1+1}` ==> sum : 1+1=2
'Development (국비 복습 )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lice (0) | 2022.09.26 |
---|---|
js 배열 (0) | 2022.09.21 |
String을 객체로 사용하는 경우 (1) | 2022.09.21 |
js \ 백래쉬 사용법 (0) | 2022.09.20 |
js 객체 접근법 (1) | 2022.09.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