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0

자바스크립트 함수 자바에서 메소드처럼 작업을 수행하거나 값을 계산하는 절차이다. 함수를 사용하려면 함수를 호출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서 함수를 정의해야한다. function myFunction(p1, p2) { return p1 * p2; // 파라메터 값을 사용하여 함수 호출 } 파라메터 : 괄호안에 있는거 p1 이랑 p2 arguments : 파라메터를 사용하여 얻는 값 함수에 ()가 아니라 함수이름만 적으면 함수 객체 자체를 가져온다 function toCelsius(fahrenheit) { return (5/9) * (fahrenheit -32); } document.getElementById("demo").innerHTML = toCelsius; 이렇게 쓰면 function toCelsius(fahrenheit) .. 2022. 9. 20.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타입 -자바스크립트는 여러가지 데이터 타입을 가질 수 있다. let length = 16 // number let lastName = "Johnson"; //String let x = {firstName : "John" , lastName: "Doe" }; //Object -자바스크립트는 숫자와 스트링이 값이 쓰이는 경우 숫자를 스트링으로 인식한다. let x = 16 + "Volvo"; 이건 숫자가 String으로 인식되어 x값은 16Volvo로 나온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해석하기 떄문에. 그 전에 오퍼레이터가 있으면 스트링으로 안보고 그냥 계산되서 나옴 let x = 16 + 4 + "Volvo"; result : 20Volvo 대신 스트링이 나온 후에. 숫자가 나오면 , 16이 스트링으로 인식되서 모.. 2022. 9. 20.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1. += let z = 10; z += 5; 위에서 += 는 z = z + 5랑 같은 말이다. 15가 출력 let text1 = "what a very"; text1 += "nice day"; text1 = text1 + "nice day";랑 동일 what a very nice day가 출력 2.자바스크립트 ==와 ===는 다르다. ==는 단순히 변수 값을 기반으로 유형을 체크하는 반면에, ===는 변수 유형까지 체크한다 #예제 -숫자와 불리언 비교 //0값은 false와 동일하므로 -> true 출력 0 == false // true 두 피연산자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 false 출력 0 === false // false console.log(typeof 0); // exp.. 2022. 9. 14.
자바스크립트 let,const let은 자바스크립트 변수 선언 방식이며, 재선언이 허용되지 않는다 let x = 5; 하고 let x = 6; 이런식으로 만들 수 없다. 하지만 변수의 재할당은 가능하다. let x = 5; x = 6; 이런식은 가능하다 하지만 const는 변수의 재선언, 변수 재할당 모두 불가능하다. constant 뜻은 변함없는이라는 뜻임. 자바의 final과 비슷하다. 변하지않는 변수 값을 literal (문자 그대로의)라고 부르기도 한다. const 변수에 선언된 변수값이며, 수정이 불가한 값이다.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지만 , 레퍼런스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다. 그냥 하나의 메모리 그 자체로 보면 될거같다. const price1 = 200; const price2 = 300; let totalPrice = pr.. 2022. 9. 12.